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by 별똥벼리 2025. 1. 16.

2025년 최저임금이 1만 원을 넘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또한 월급 환산액은 209만 6,27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최저임금과 기준 중위소득, 또한 월급 계산을 하실 수 있는 월급계산기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2025년 최저임금은?

1. 시급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최저임금인 9,860원보다 170원 인상된 금액입니다.

 

2. 월급 환산액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환산액은 209만 6,270원입니다.
이 금액은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된 것이며,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인상폭


2024년에 비해 시간급 10,030원, 일급 80,240원(8시간 기준), 주급 401,200원(40시간 기준), 월급 2,096,270원(209시간 기준)으로 1.73% 인상되었습니다.
소폭 상승이지만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고 경제 상황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

 

4. 적용 대상


최저임금은 모든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 1인 이상을 고용한 사업장이라면 모두 최저임금을 준수해야 합니다.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기준 중위소득

 

1. 4인 가구 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609만 7,773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 대비 6.42% 인상된 금액입니다.

 

2.  1인 가구 기준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239만 2,013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증가하는 1인 가구 수와 생활비 증가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3. 인상률


전체적인 인상률은 약 6.42%로, 물가 상승률과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4. 적용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다양한 사회보장급여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이 기준에 따라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구와 개인의 범위가 결정되며, 중위소득 인상은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사회복지 혜택 변화

 

2025년에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주요 사회복지 혜택에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각 급여의 선정 기준과 지원 내용이 조정되어 저소득층 가구의 생활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1. 생계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가 생계급여 수급 대상으로 선정됩니다.


부양의무자 소득 기준 완화: 부양의무자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연 소득이 1억 원 또는 일반 재산이 9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수급에서 탈락하던 기존 기준이 연 소득 1.3억 원 또는 일반 재산 1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로 조정됩니다.

이는 수급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2. 의료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가구가 의료급여 수급 대상입니다.


건강생활유지비 인상: 건강생활유지비가 월 6천 원에서 월 1만 2천 원으로 인상되어, 수급자의 건강 관리 비용을 더 많이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저소득층 가구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주거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가구가 주거급여 대상입니다.


기준임대료 인상: 기준임대료가 1만 1천 원 ~ 2만 4천 원(3.2~7.8%) 인상됩니다.

이는 지역별 주택 임대료 상승을 반영하여 지원 금액을 조정한 것입니다.


주택 수선 비용 인상: 주택 수선 비용도 133만 원~360만 원으로 29% 인상되어, 주택 유지와 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보다 충분히 지원합니다.


4. 교육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가구가 교육급여 대상입니다.


교육활동지원비 인상: 교육활동지원비가 약 5% 인상되며, 구체적인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등학교: 48만 7천 원
중학교: 67만 9천 원
고등학교: 76만 8천 원

 

이러한 변화는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저소득층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생활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월급 계산기 사용방법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아래의 월급계산기로 확인해 보세요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월급 계산하러 바로가기

 

1. 근로시간


시급제 또는 월급제를 선택합니다.
주당 근무 시간을 입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주 40시간 근무(주 5일, 하루 8시간)가 기본입니다.

 

2. 급여 입력

 

시급: 시급 근로자의 경우, 본인의 시급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10,030원을 입력합니다
월급: 월급 근로자의 경우, 기본 월급(세전 금액)을 입력합니다. 일반적으로 3.3%의 소득세와 4.5%의 국민연금이 공제됩니다.

 

3. 상여금 등 각 수당 입력

 

4. 복리 후생비 입력

 

식비, 숙박비, 교통비 입력

 

5. 그 외 기타 수당 입력

 

6. 수급근로자 여부

 

7. 계산하기 버튼 클릭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최종 월급이 계산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
2025년 최저임금 결정과 월급 계산기